차의분류
일반적으로 차를 분류할 때 가장 과학적인 분류 방법으로는 발호 정도에 따른 분류이다. 발효란 것은 차잎 세포 조직 중의 액포 속에 들어 있는 폴리페놀 성분이 원형질에 들어 있는 산화 효소인 폴리페놀 옥시다아제에 의해 산화되어 황색을 나타내는 데아플라빈이나 적색의 데아루비긴 성분으로 변하면서 복잡한 화학 성분의 변화를 일으켜 독특한 향미를 나타내는 작용을 말하는데 이 발효의 정도에 따라 비발효차 ,반발효차 ,발효차, 후발효,차로 분류하고 있다. |
|
반발효차는 우롱차라고 하는데 중국의 푸찌엔 성과 광동 성 그리고 대만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으며 독특한 꽃향기와 체중 감소 효과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즐겨 마시고 있지만 제조 방법이 복잡하고 어려워서 대규모 생산이 불가능하므로, 중국의 전체 생산량 465만 톤 가운데 약 5만 톤 정도가 우롱차이고 35만 톤은 녹차, 나머지는 홍차와 보이차로서 우롱차가 차지하는 비율은 11% 정도이다. 이러한 반발효차의 특징은 일광 위조와 실내 위조를 통해 수분 증발과 더불어 발효 작용에 의한 향기 생성을 유도하여 발효 정도에 따라 저마다 특유의 방향을 나타낸다. 최근 우롱차가 비만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설로 그 소비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일본의 경우 우롱차 드링크를 제조하는 회사가 154개 회사에 이르고 소비 시장도 1천억 엔에 달해 음료 역사상 신기원을 세우고 있다.
발효차인 홍차는 1610년 전후 중국 푸찌엔 성 무이산에서 시작되었다고 하며 1828년 인도네시아에 전래된 뒤 1834년 인도로 전파되었다. 홍차의 제조 방법에는 정통식 방법과 비정통식 방법이 있으며 정통식 방법은 잎차 형태의 홍차를 생산하는 데 이용되며, 이러한 제품은 향이 강하고 수색은 엷으며 인도의 고산 지대에서 나는 다즐링 홍차와 스리랑카에서 주로 이 방법으로 생산하고 있다. 비정통식 제조 방법은 잎을 잘게 부수고 압착하여 즙액이 밖으로 유출되도록 하여 차를 끓일 때 보다 빨리 우러나오고 수색이 진하여 맛이 강하도록 제조하는 방법인데 티백이나 브랜딩용으로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