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발음을 들은 그대로 모방하며 반복연습하라

by 걷기동행 2006. 5. 7.
SMALL

발음을 들은 그대로 모방하며 반복연습하라

 

 

신정원 명지전문대 교수

 

 

직독(直譯) 습관은 금물

 

A:우리나라에 온 지 그다지 오래 되지않은 외국인이 우리말을 곧잘 하는 것을 보고 위와 같은 생각이 든 적이 있을 것이다. 어떻게 하여 외국인들은 짧은 시간 내에 우리말을 잘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본다면 「나는 어떻게 하면 영어를 잘할 수 있을까」의 답에 도달하는 길이 있다>
 
  미국인이 우리말을 하는 것을 보자. 예를 들어 『비빔밥으로 주세요』라는 말을 하려고 할 때, 그는 먼저 『I’d like the bibimbab』을 생각한 후 『What’s I’d like in Korean?』 (「I’d like」가 한국말로 뭐지?)이라는 질문을 하지 않는다. 그는 『How do Koreans say I’d like the bibimbab?』 (I’d like the bibimbab을 한국사람들은 뭐라고 하더라?)라는 질문을 한다.
 
  그런데 우리는 어떠한가. 『스테이크로 주세요』를 말하고자 할 때 「주세요」가 영어로 뭐지? 그건 「Give me」이니까 『Give me steak』이겠다는 식으로 생각하고 말한다(『Give me 무엇』은 『무엇을 이리 줘』라는 반말 어투이다. 위에서처럼 『I’d like 무엇』이라 해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하고자 하는 말을 한 단어씩 直譯(직역)하려 할 때 문제가 생긴다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말을 번역하려 들지 말고 우리말에 상응하는 표현을 찾아야 한다. 그들이 생각하는 대로 영어를 생각해야 한다. 영어로 생각하라는 거다. 우리가 「(약을) 먹는다」라고 한다 하여 「eat」를 써선 안되며, 원어민의 어휘인 「take」를 써야 한다. 누가 문을 두드릴 때 우리가 「나가요」한다 하여 『I’m going』이라 하면 틀리다는 것이며, 그들은 『나와요』인 『I’m coming』을 쓴다는 것이다.
 
  나의 意思(의사) 또는 나의 말의 의미를 묘사하는 영어표현을 찾아야지 말 그대로를 옮기는 표현을 써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흔히 하는 농담에, 『좀 봐주세요』를 『Please look at me』라고 한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우리말을 글자 그대로 옮길 때 소위 이런 「콩글리시」라는 것이 생기게 된다.『걔 정말 안됐다』라는 말을 할 때 「안됐다」가 영어로 뭐지라고 할 것이 아니라, 누구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겼을 때 그들은 어떤 식의 말로서 동정을 표현하는가를 생각해야 한다(『I feel so sorry for her』이다).
 
  異性(이성)에게 접근할 때 하는 말인 『커피나 한 잔 하실까요?』를 글자 그대로 말하지 않고, 그런 경우 원어민들은 어떤 말로 異性에게 접근하나를 알아야 한다(「pickup line」이라고 불리는 이런 표현들은 상당히 많은데 『Haven’t we met before?』 『Haven’t I seen you somewhere before?』 등이 있다).
 
  그런데 우리가 그렇게 하는 말들이 있다. 『어느 나라 사람인가』 또는 『어느 나라에서 왔는가』를 물을 때 두말 없이 『Where are you from?』이라 하지 않는가. 이때는 우리가 「어느 나라」를 英譯(영역)하려고 하지 않는다는 점을 눈여겨본다면 알 수 있을 것이다.

 

 

 

文法은 회화의 材木이다

 

A:집을 지을 때 뼈대 없이는 불가능하다. 영어문장을 짓는 데도 뼈대가 있어야 한다. 영어의 뼈대는 구성형식을 말하며, 그의 기본뼈대는 主語(주어)와 動詞(동사)다. 주어, 동사 없이는 문장이 될 수 없다. 그런데 우리는 그것쯤은 벌써 알고 있었다. 중학교 때 배운 문법의 「1형식」이 아닌가. 언어의 구조를 말해주는 文法은 會話의 材木(재목)이다. 그 材木이 무엇인지는 알았지만 적절히 사용할 줄 몰랐으니 회화의 집을 짓지 못하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의 영어교육은 材木이 이런 것이 있다는 것을 보여만 주고 그것을 가지고 집을 짓는 방법을 가르치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문법을 문법만으로 가르치고는 회화에 활용시켜 주지를 못했다>
 
  그러면 어떻게 문장을 만들 수 있는지 예를 들어 살피자. 『내일 3시에 ABC 커피숍에서 만났으면 해요』를 영어로 해보자. 첫번째 할 것이 바로 主語, 動詞가 무엇인가 생각해내야 하는 것인데, 그 전에 먼저 염두에 두어야 하는 「주요사항 1번」이 있다. 우리말은 主語 없이도 한다는 거다. 그러니 主語를 찾아내야 한다. 앞의 문장의 主語가 「나」라는 것은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지만, 항상 그렇지만은 않다. 예를 들어 우리가 『이사 가신다면서요』라는 말을 할 때는 主語가 무엇일까. 여기서 主語는 이사 가는 상대인 「you」가 아니다. 앞의 문장은 실제로 『내가 당신이 이사 간다는 말을 들었다』이니 「I」가 主語인 것이다.
 
  그러면 앞의 문장에서 動詞는 무엇인가. 「~(했으면) 한다」가 動詞이다. 이 말은 영어로 무엇인가. 「~(했으면) 한다」는 「~(하기를) 바란다」 「원한다」를 말하고 있다. 여기에 「주요사항 2번」이 있다. 즉, 자연스런 우리말 動詞를 그 말의 기본되는 동사 표현으로 바꾸어야 하는 것이다. 『이사 가신다면서요』에서는 동사가 「이사 가다」가 아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이 문장은 『이사 간다는 말을 내가 들었다』이니, 동사는 「~를 듣다」인 「hear」이다. 이 경우에서처럼 문장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표현된 우리말 문장이 실제로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기본되는 문장을 살펴야 정확한 동사를 찾을 수 있다.
 
  「바라다」 「원하다」는 「want」이니, 「I want~」라는 기초 틀이 잡혔다. 이제 나머지는 다음과 같이 생각을 해야 한다.

 

 

존대말과 時制에 주의

 

I want~(나는 원한다)/무엇을? 만나기를. I want to meet~(나는 만나기를 원한다)/누구를? 당신을. I want to meet you~(나는 당신을 만나기를 원한다)/언제? 내일 3시에. I want to meet you at 3 tomorrow~(나는 당신을 내일 3시에 만나기를 원한다)/어디에서? ABC 커피숍에서. I want to meet you at 3 tomorrow at the ABC coffee shop.
 
  『이사 가신다면서요』는 『나는 들었다-무엇을?-당신이 이사 간다는 것을』로 생각하여 『I heard that you’re moving』으로 말한다.
 
  우리말을 영어로 옮길 때 기억해두어야 하는 「주요사항 3번」을 보자. 영어에도 존대말과 반말 어투가 있으니 가려 써야 한다는 것인데, 위의 문장을 손윗사람에게 쓸 때는 반말 투인 「I want~」 대신 좀더 공손한 「I’d like~」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는 말이다. 몇 가지 다른 예들을 보면, 상대의 이름을 묻는다고 하여 『What’s your name?』이라고 하면 『이름이 뭐예요?』가 된다. 고객이나 윗사람에게 하는 우리말 존대말인 『성함이 어떻게 되시죠?』는 『May I have your name, please?』이다. 전화상에서 잠깐 기다리라는 말을 할 때 『Wait a minute』이라 하면 그야말로 『잠깐 기다려』가 돼 『One moment, please』라고 해야 정중하게 기다려 달라는 표현이 된다. 「~하는 것이 좋을 거예요」의 뜻인 「You’d better~」도 윗사람에게는 삼가야 하는 표현이다.
 
  「주요사항 4번」은 시제의 쓰임새이다. 시제는 학습자들에게 숙어, 관용어구만큼 인기(?)가 없는데, 아무리 멋진 단어나 표현들을 골라 썼다 해도 시제가 정확하지 않다면, 죄송한 말씀이지만 「무식」해 보일 뿐 아니라 올바른 의사전달이 어렵다. 『ABC 회사에서 일하신 지가 얼마나 되셨습니까?』를 묻는데, 『How long have you been working for ABC company?』가 아니라 『How long are you working for ABC company?』 (얼마나 오래 ABC 회사에서 일하세요?)라고 한다면 무슨 말을 하는지 상대는 의아해 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은 대단히 복잡한 이름인 「현재완료진행형」이 「have been~ing」의 형태임을 아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이 시제가 어떠한 상황에 쓰이며, 또 그 상황이 자연스런 우리말로는 어떻게 표현되는가를 알아야 한다. 즉, 이전 어느 시점부터 무엇을 시작해 지금까지 해온 그 일에 대해 말하는, 「~한 지가 (얼마) 된다」 또는 「~하고 있었다」라는 우리말의 영어표현이 「have been~ing」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랬을 때 『오래 기다리셨어요? (미안해요)』를 『Have you been waiting long?』, 『(괜찮아요.) 이 책 읽고 있었어요』를 『I have been reading this book』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당신 오늘 뭐했어?』인 『What have you been doing today?』, 좀더 긴 문장인 『그분한테 지금 이틀이나 연락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는 『I have been trying to reach him for two days now』까지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live」와 「leave」
 
 
 
  A:좋은 발음이란 미국사람같이, 또는 영국사람같이 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발음을 하는 것이다. 『I am going to write a letter to the International Company』를 말한다 하자. 이 문장을 『아임 고나 롸이러 래러 투 디이너내쇼널 캄파니』라고 미국사람 비슷하게 발음을 했다고 해서 꼭 잘한 발음이 아니라는 거다>
 
  그렇다면 정확한 발음을 한다는 것은 무얼 말하는가.
 
  실험을 하나만 해보자. 「live」 와 「leave」 를 발음해 보라. 한 번만 더 읽어 보라. 소리가 같은가, 다른가. 우리에게는 이 둘은 비슷하게 보인다. 그래서 비슷하게 발음한다. 그러나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들에게는 이 둘은 완전히 다른 단어들이다. 하나는 「살다」이고, 또 하나는 「떠나다」인데 어찌 같을 수가 있는가. 뜻이 전혀 다른 이 단어들의 발음은 당연히 달라야 한다. 그렇지 않고는 『I don’t want to leave(나 떠나고 싶지 않아)』를 말하려고 하는데 『I don’t want to live(나 살고 싶지 않아)』라고 말이 돼 나오는 것이다. 정확한 발음(accuracy)을 하려고 노력한다면 유창한 발음(fluency)은 따라올 것이며, 『I’m gonna write a letter to the International Company』도 정말 원어민 같은 발음으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언어는 모방이다.

  모든 동물들은 부모를 보고 따라 한다. 인간의 자식이 그 부모의 소리를 모방하는 데서 인간이 언어를 배우게 되는 것이다. 경상도의 어린아이들은 부모가 하는 억양 그대로 『우얄끼고마』라고 한다. 전라도의 아이들이 『싸게 싸게 오더라고 잉』이라고 말할 때 보면 부모의 말투 그대로다.
 
  미션어리(Missionary)로 이 땅에 와 한국에서 3세대째 살고 있는 미국인을 알고 있다. 그는 고향(?)이 전라도인지라 한국말을 할 때 보면 완전 전라도 사람이다. 경상도 사투리로 한국말을 하는 어느 미국인은 이미 알려져 있다. 이들은 우리말을 배울 때 귀에 들어오는 대로 따라 반복했던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영어를 배울 때 자신이 들은 그대로 반복하는 사람은 드물다. 완벽한 모방으로 강세, 리듬 등 억양을 「복사」해내야 하는데, 단어들을 나열해 읽는 정도다. 발음을 잘 하려면 교실에서 또는 카세트테이프에서 들은 그대로 완벽하게 복사하여 반복해주라. 그렇게 계속할 때 그들의 억양이 입에 배게 될 것이다. 외국어를 단시일 내에 잘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좋은 학습방법을 통해 꾸준히 자신을 그 언어에 노출시킬 때 분명히 잘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