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학습법

우리 것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英語를 내려다보면 쉬워진다

by 걷기동행 2006. 5. 9.
SMALL

우리 것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英語를 내려다보면 쉬워진다

 

오성식, 방송인·오성식영어연구원장

 

 

말하는 英語는 결코 어려운 것이 아니다

 우리는 흔히 언어의 기능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한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가 바로 그것인데, 이 중에서도 말하기, 즉 보통 영어회화라고 하는 부분을 가장 어려운 언어의 기능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대단히 잘못된 생각이다.

 

 

사실 모든 언어의 정상적인 습득 과정을 살펴보면 듣기가 가장 우선하는 과정이고 이어서 말하기, 읽기, 쓰기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우리가 母國語(모국어)를 익힌 과정을 더듬어 본다면 쉽게 이해가 가는 부분이다. 
  


  우리의 뇌에는 흔히 LAD(Language Acquisition Device·언어습득장치)라는 기능이 있는데 이 기능은 태어날 때부터 작동하기 시작하여 사춘기가 되면 그 기능이 거의 정지한다는 게 언어학계의 정설이다. 이 LAD기능이 왕성한 시절 아기들은 끊임없이 자신만의 말을 만들어 봄으로써 점점 정확한 언어표현을 완성해 가는 것이다. 이렇듯 母國語의 경우 아이들은 글을 이해하기 전에 이미 대부분의 말을 이해하고 또 표현할 줄도 알게 된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영어회화를 하는 데 그토록 어려움을 겪는 것일까?


  
  답은 간단하다. 우리가 그동안 영어를 배워왔던 과정이 모국어를 익혔던 과정과 달랐기 때문이다. 우리가 영어를 배워왔던 과정을 되돌아 보자. 우리는 처음 영어를 접하면서 영어의 글자인 알파벳부터 배웠고, 이어서 문장의 5형식이라는 다소 어리둥절한 영문법부터 시작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할 즈음에는 우리는 영문법의 大家(대가)들이었고, 영어 단어의 도사들이었으며, 해석의 천재들이었다. 따라서 글로 익힌 영어였기에 글은 편안했고 쉬웠지만 말하는 영어는 한없이 어려웠던 것이다.
 


  반대의 경우를 살펴보자. 필자가 다녔던 미국의 미시간주립대학교 어학원에서 실제 목격한 일이다. 이 학교 어학원에는 세계 각국에서 영어를 배우기 위해 수많은 학생들이 몰려든다. 문법과정, 영작문 과정, 듣기과정, 회화과정으로 이루어진 이 어학원에는 출신 국가에 따라 학생들의 분포가 눈에 띄게 다르다. 회화과정에는 한국과 일본 학생들이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반면 문법 과정에는 中東(중동)이나 南美(남미) 지역 학생들이 많다. 어렸을 때부터 학교 영어 수업이 말하기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 中東 국가의 학생들은 문법은 다소 서툴러도 말만큼은 기가 막히게 한다. 우리는 그 반대의 경우이다. 그러나 여기에 기죽을 필요가 없다. 말하는 영어에 투자했던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기 때문이지 능력이 모자라 그런 게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文化에 대한 자부심을 가져라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영어회화를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자.
 


  먼저 언어는 문화의 한 단면임을 이해해야 한다. 문화의 속성은 다분히 심리적인 것이어서 우리의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크면 클수록 외국문화를 받아들이기가 쉬워진다. 일전에 소말리아에 우리는 평화유지군의 일원으로 국군을 派兵(파병)한 일이 있다. 당시 저녁 9시 뉴스에서 한 사병이 파병되기 전 약 한 달간 현지 언어를 공부했다는 말과 함께 앞으로의 각오를 소말리아어(?)로 또렷하게 얘기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한 달간 공부한 외국어로 그렇게 자신 있게 자신의 소신을 말하는 배짱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먼저 이 군인은 소말리아어를 좀 못해도 크게 부끄러울 것이 없다는 생각이 있었을 것이고, 나아가 대한민국에 내가 뭐라고 한 들 알아들을 사람이 몇 명이나 되겠느냐는 식의 당당함도 있었을 것이다. 외국어 학습에 있어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은 이래서 중요하다. 우리가 영어 배우기가 어려운 것처럼 미국인도 우리말 배우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그런데 실제 미국인이 우리말을 익히는 속도가 빠르다는 사실은 흥미롭다. 또 외국어대 학생들의 경우 아랍어나 아프리카, 베트남어 등 특수외국어를 전공하는 학생일수록 그 습득 속도가 빠르다는 것도 재미있는 사실이다. 어떤 문화권의 말을 배우든지 우리가 기죽어야 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영어를 못하는 것이 부끄러움의 대상이 아니다.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


  
  너무나 당연한 말이지만 영어를 포함한 모든 외국어는 그 외국어를 사용하여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하나의 도구 내지는 수단에 불과하다. 어떤 경우에도 우리는 이 수단에 정신적 노예가 되어서는 안 된다. 서양사람들은 그들에게 익숙한 포크로 라면을 똘똘 말아 절묘하게 잘도 먹는다. 그런데 우리는 왜 숟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하여 스테이크를 먹을 용기를 내지 못하는 것일까? 숟가락이나 포크는 음식을 먹기 위한 수단에 불과한 것인데 우리는 수단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먹은 음식의 맛을 기억하지 못할 정도로 정신적 포로가 되고 마는 것이다. 서양의 스파게티도 우리에게 익숙한 젓가락으로 먹는 것이 훨씬 수월한 일임에도 불구하고 서툰 포크 질로 음식 맛까지 망친다면 한번쯤 再考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필자는 지금도 완벽한 영어를 구사하지 못한다. 미국 땅이라고는 석사학위를 받는 과정에서 1년 3개월 동안 학교와 도서관, 기숙사를 오가며 밟아 본 것이 고작이기에 필자의 영어 구사능력은 우리나라 땅에서 완성됐다 해야 할 것이고, 그러기에 필자의 영어도 한계가 있음을 고백해야겠다. 하지만 영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영어 이상의 것을 배운 것이 있다면 그것은 「나는 내 멋에 살겠다」는 적당한 배짱이 아닐까 싶다. 이젠 더 이상 「완벽한 영어」에 대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영어 잘하는 사람을 보면 부럽다느니, 존경스럽다느니 하는 과찬들은 피아노를 잘 치는 사람에게 보내는 찬사나 태권도를 잘하는 사람에게 보내는 찬사와 다를 바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남의 말 좀 잘한다고 해서 그게 사회적인 대접까지 이어져야 한다는 데는 동의할 수 없다.

 

 

자기보다 못한 클라스에 들어가라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으로 무장하고 외국어가 의사소통의 도구에 불과하다는 자신감으로 정신무장이 끝났다면, 남은 것은 확실한 목표를 설정하는 일이다. 확실한 목표 없이 단지 지금은 국제화시대니까 하는 식의 막연한 생각으로는 절대 영어를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없다. 예컨대, 어느 미국인과 결혼을 꼭 해야 하는 긴박한 상황에 접해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얼마 지나지 않아 유창한 영어를 구사할 수 있을 것이다.


  
  목표를 설정할 때 막연한 목표보다는 작은 목표라도 현실적이고 실천 가능한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주변의 친구나 동료들과 일정시간 영어로 대화하는 시간을 마련한다든지, 인터넷을 통해 외국 친구와 규칙적으로 대화를 나누는 계획을 세워본다든지, 외국인 선교사와의 규칙적인 만남을 가져본다든지, 이것도 저것도 쉽지 않을 때는 영어 학원에 등록하여 규칙적으로 영어로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는 것이 작은 목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영어 학원에 등록할 경우 가급적 본인보다 못한 클라스에 들어가라고 권하고 싶다. 왜냐하면 자신보다 나은 반에 들어가서 기죽어 가며 공부할 경우 심리적으로 위축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클라스에서 대부분의 경우 영어로 말할 때 알면서도 틀리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그간 연습이 충분하지 못해서 생기는 결과이기 때문에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영어를 연습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해결될 수 있는 문제라고 본다. 따라서 어떤 경우라도 기죽을 상황에 자신을 몰아넣는 것은 현명하지 못한 일이다.
 


  세상사 모두가 그렇듯이 재미있어야 오래 할 수 있고, 오래 하다 보면 어느새 원하든 원치 않든 그 결과는 나오게 마련이다. 뚱뚱한 사람들은 본인의 체질이 물만 먹어도 살이 찐다고 말하고, 마른 사람은 아무리 먹어도 살이 안 찐다고 투덜댄다. 살이 찐 사람들은 대체로 먹는 것의 즐거움을 알고 배가 고파지면 새로운 먹는 것의 즐거움을 찾는 것에 반해, 마른 사람들은 먹는 것의 즐거움 대신 알약 하나로 한 달을 버틸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하는 엉뚱한 생각을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뭐든지 즐기지 아니하고 살찌우는 방법은 없다. 이제 영어도 즐길 줄 알아야 한다.
 


  공부라는 딱딱한 굴레를 벗어 던지고 영어를 놀이로 삼아 즐기는 기회를 가져보자. 나이지리아의 민속음악을 즐기는 자세로 팝송도 따라 불러보고, 콩고 미남과 데이트하는 기분으로 미국인과의 사귐을 가져보기도 하자. 좋아하는 액세서리를 주워 모으는 기분으로 영어단어를 챙겨보고, 프로야구의 승률을 계산하는 여유로운 자세로 영문법을 탐색해 보자. 어떤 경우에도 이런 모든 과정이 피동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능동적이어야 하고 주체적이어야 한다. 영어가 생활화되었을 때 비로소 유창한 영어를 하게 된다는 느긋한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을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싶다.

 

 

LIST